
월급은 매달 들어오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통장은 금세 텅장이 되기 마련입니다. 특히 소비 유혹이 많은 요즘 시대에는 돈을 벌기보다, 잘 지키는 습관이 더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월급날에 반드시 해야 할 돈 관리 루틴을 소개합니다. 작은 습관의 차이가 자산의 격차를 만들 수 있습니다.
1. 월급 통장 확인 → 자동 분배
월급이 입금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동이체가 정상 작동하는지 점검하는 것입니다. 통장 쪼개기를 활용해 예산을 다음과 같이 나눠주세요.
- 50% 고정지출(월세, 통신비 등)
- 30% 저축/투자(CMA, 적금, 비상금)
- 20% 소비(식비, 쇼핑 등)
이체일을 월급일 다음 날로 설정해 자동화하세요.
2. 고정지출 리스트 재점검
한 달에 한 번, 불필요한 고정지출이 있는지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중복된 구독 서비스
- 사용하지 않는 앱/플랫폼 유료 결제
- 과도한 통신 요금제
작은 지출을 줄이는 것이 가장 빠른 절약입니다.
3. 카드값 정리 → 계획 소비 전환
신용카드를 사용했다면, 정확한 카드값 청구 금액 확인과 함께 결제 예정일도 파악해두세요. 계획 소비를 위해 이번 달 카드 사용 한도도 미리 정해놓는 것이 좋습니다.
4. 이번 달 소비 예산 설정
소비 통장에 일정 금액만 입금하고, 그 금액 내에서만 지출하도록 설정하면 충동소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Tip: 이번 달 특별한 지출이 있는지 미리 체크해두세요. (예: 경조사, 기념일 등)
5. 비상금 통장 적립 여부 확인
비상금 통장은 자산 안전망입니다. 월급의 일정 비율(5~10%) 정도를 자동이체로 적립하도록 설정해두고, 손대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6. 가계부 앱 초기화
한 달의 시작인 만큼, 가계부 앱도 초기화하여 예산 관리 흐름을 새로 시작하세요. 토스, 머니매니저, 뱅크샐러드 등에서 월별 보고서를 확인하고 전월 소비를 복기하는 것도 좋습니다.
마무리하며
월급날은 단순한 ‘돈이 들어오는 날’이 아니라, 재무 루틴을 시작하는 날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루틴을 매달 반복한다면, 자연스럽게 지출은 통제되고 자산은 증가할 것입니다.
돈은 계획이 있을 때 남는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